본문 바로가기

이승철님 노래

Optimus G Pro

Optimus G Pro

 

 

1. 개요[편집]

LG전자가 2013년 2월 MWC 2013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2012년 9월에 먼저 출시된 옵티머스 G의 파생모델.


2. 사양[편집]

 

 

2.1. Optimus G Pro[편집]

•사양이 두 가지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 한국 내수용 사양에 해당되는 부분에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한국 내수용 중 LG U+ 추가 사양의 경우 분홍색 바탕으로 표기


◦메모리 사양 중 한국 내수용에 해당하는 경우 빨간색 글씨로 표기.

 

 

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 600 APQ8064T SoC. Qualcomm Krait 300 MP4 1.7 GHz CPU, 퀄컴 Adreno 320 400 MHz GPU
 

메모리
 
2 GB LPDDR2 SDRAM, 16 / 32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64 GB 지원)
 

디스플레이
 
5.46인치 FHD(1920 x 1080) RGB 서브픽셀 방식의 LGD Full-HD IPS TFT-LCD (400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
워크
 
기본
 
GSM & EDGE
 

선택
 
LTE Cat.3,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TD-LTE, TD-SCDMA
 
CDMA & EV-DO Rev. A
 

근접통신


 
Wi-Fi 802.11a/b/g/n, 블루투스 4.0+HS, NFC[1]
 

카메라
 
전면 210만 화소,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
 

배터리
 
Li-Ion 2940 ~ 3140 mAh
 

운영
체제
 
기본
 
안드로이드 4.1 (Jelly Bean) → 4.4 (KitKat) → 5.0 (Lolllipop) / LG UI 3.0 → 4.0 → LG UX 3.0
 

CM
 
안드로이드 4.2 (Jelly Bean) / LG UI 3.0
 

규격
 
76.1 x 150.2 x 9.4 mm, 172 g
 

색상
 
인디고 블랙, 루나 화이트
 

단자정보
 
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기타
 
국제
 
러버듐 펜 지원[2]
 
FM 라디오 지원[3]
 

한국
 
VoLTE 지원, 지상파 DMB 지원
 

2.2. Optimus G Pro NTT docomo & Optimus GK[편집]

옵티머스 GK 항목 참조. 옵티머스 G Pro의 이동통신사 요청 파생 모델이다.[4]

2.3. LG G Pro Lite[편집]

 

파일:attachment/GProL.jpg
 

 

 

 

홍콩 LG전자 LG D684 공식 사이트
 

 


 

 

프로세서
 
Mediatek MT6577 SoC. ARM Cortex-A9 MP2 1 GHz CPU, PowerVR SGX531 MP2 GPU
 

메모리
 
1 GB LPDDR2 SDRAM, 8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64 GB 지원)
 

디스플레이
 
5.5인치 qHD(960 x 54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LCD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
 
HSPA+ 21Mbps, HSDPA & HSUPA & UMTS, GSM & EDGE
 

근접통신
 
Wi-Fi 802.11a/b/g/n, 블루투스 3.0, NFC
 

카메라
 
전면 200만 화소, 후면 8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
 

배터리
 
Li-Ion 3140 mAh 탈착형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4.1 (Jelly Bean) → 4.4 (KitKat)
LG UI 3.0 → 4.0
 

규격
 
76.9 x 150.2 x 9.4 mm, 161 g
 

단자정보
 
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일부 모델 듀얼심 지원
 

기타
 

 


FM 라디오 지원, 러버듐 펜 지원
 


2013년 10월에 공개한 옵티머스 G Pro의 Lite(...) 모델이다. Pro와 Lite를 공존시키는 LG전자 마케팅부서에 박수를 [5]

Pro이면서도 Lite인 이중인격폰
사양을 봤을때 삼성전자의 갤럭시 메가 5.8과 비슷한 성능으로 보인다. 또한 LG 뷰 시리즈에 제공되는 러버듐 펜이 제공되어 제품에 내장할 수 있다.
근데 스펙대로라면 엄청난 배터리 깡패다. 3140mAh 탈착형에 1GB 램+저해상도 디스플레이+저클럭 프로세서면 당근 배터리가 오래갈수밖에 없다. 물론 엘지전자 특유의 기술인 쓰로틀링을 시전한다면 그런거 없다.

3. 상세[편집]

LG전자가 그룹 차원의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 개발했다고 알려진 옵티머스 G의 Full-HD 해상도 지원 파생 모델이다. 다만, 옵티머스 G는 2012년 9월에 한국, 일본, 미국에만 출시되었기 때문에 글로벌 공개는 이쪽이랑 동시에 MWC 2013에서 이루어졌다.

외관 디자인의 경우 본가 모델과는 다른 형태이며 전면은 갤럭시 S II HD LTE, 후면은 테이크 LTE와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리고 전체적인 외관은 갤럭시 노트 II와 비슷하다는 주장 역시 존재한다. 기본 색상은 인디고 블랙, 루나 화이트로 총 2종이다.

사양 자체는 본가 모델과 큰 차이는 없으나 세세하게 변경되었다.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600 APQ8064T를 사용한다. 본가 모델과 비교할 때 GPU는 동일하지만, CPU가 Qualcomm Krait에서 Qualcomm Krait 300으로 변경되었고, 클럭도 1.7 GHz로 상향되었다.

RAM 용량은 본가 모델과 동일한 2 GB다. LPDDR2 SDRAM을 사용하기 때문에 베가 No.6와 동일한 대역폭 논란을 겪었다. 내장 메모리는 16 GB와 32 GB로 나뉘며 micro SD 카드 슬롯으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5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한다. IPS TFT-LCD를 사용한다. 성능 외적으로 이너 베젤의 두께 때문에 구라 베젤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있다.

지원 LTE 레벨은 Cat.3로 다운로드 최대 10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314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3040 mAh이다. 본가 모델과는 달리 착탈식을 사용하며 용량도 상향되었다. 이는 Full-HD 해상도를 감당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본가 모델에 비해서 나아진 배터리를 보여줘 호평을 받았다.

무선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뒷면 배터리 커버[6]를 G Pro 전용 퀵 커버 케이스로 장착하여야 하며, Qi 규격의 무선 충전 패드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카메라는 본가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LG전자에서도 초반 문제를 인식해 소프트웨어로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4.1 젤리빈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4.1.2.

4. 추가 기능[편집]

•홈 버튼 LED : 홈 버튼에 LED가 내장되어있다. 일종의 LED 표시등의 역할을 한다고 한다.


 

 

•Q 리모트 : 옵티머스 뷰 II와 동일한 기능이다.


•VR 파노라마 : 수평/수직만을 촬영하는 파노라마에서 VR을 응용해 더 넓은 전방을 넓은 각도로 촬영할 수 있다. 다만 VR 파노라마를 잘못 찍으면 그냥 시공간을 이어붙인 괴상한 결과물이 나온다. 사실 일반 파노라마도 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사진이 이상하게 찍힌다.

 

 

 

 

 

5. 출시[편집]

2013년 2월, 한국을 시작으로 출시가 되었다. 다만, 본가 모델인 옵티머스 G의 글로벌 출시가 우선순위에 놓였기 때문에 글로벌 출시가 장담을 못하고 있었다. 게다가 글로벌 시장 기준으로 옵티머스 G의 후속작인 LG G2가 사실상 반 년만에 공개되었기 때문에 시기 자체도 애매한 상황이었다.

그래도, LG G2의 출시 전후로 알게모르게 제법 많은 국가에 출시가 이루어졌다.


 

 

 

5.1. 한국 출시[편집]

2013년 2월 13일, LG전자 페이스북을 통해 좋아요를 누르면 가려진 공이 없어지면서 디자인이 공개 되는 형식으로 이벤트를 열었다.

2013년 2월 18일, SK텔레콤, KT, LG U+를 통해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3년 2월 21일 새벽, 본격적인 개봉기가 나오기도 전에 할부원금 390,000 원이 뜨기 시작했다. KT 영업 정지 기간이 물림과 동시에 경쟁 떡밥을 물은 SK텔레콤의 경쟁덕에 가격은 급속도로 내려가고 있다. 경쟁 기기라 할 수 있는 베가 No.6도 360,000 원이 뜨면서 미친듯한 바닥을 향한 레이스가 시작되었다. 다음 날인 22일 기준으로 KT에서 기기변경으로 299,000 원, SK텔레콤에서 번호이동으로 279,000 원까지 나왔다.

다만, 2013년 3월 말 기준으로 영업정지가 종료되면서 빙하기가 찾아와서 최소 가격이 400,000 원 후반대로 올라갔다.

2014년 11월 19일 SK텔레콤과 LG U+에서 출고가를 399,300원으로 인하했다.

'이승철님 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철  (0) 2017.04.18
이승철-서쪽하늘  (0) 2017.04.06
이승철-그사람  (0) 2017.04.06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 이승철 [추모영상 노무현대통령]  (0) 2017.04.06